두타산 삼화사 십이지신상 > 자료실


커뮤니티SAMHWASA TEMPLE

자료실
  • home
  • 커뮤니티
  • 자료실

삼화사 | 두타산 삼화사 십이지신상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23-04-15 16:53 조회3,106회 댓글0건

본문

※ 사진 위는 최초 설치 장소, 사진 아래는 현재 위치 임.


십이지신상

 ] 

 

십이지라는 개념은 중국의 은대()에서 비롯되었으나, 이를 방위()나 시간에 대응시킨 것은 대체로 한대() 중기의 일로 추정된다. 

다시 이것을 쥐[]·소[]·범[]·토끼[]·용[]·뱀[]·말[]·양[]·원숭이[]·닭[]·개[]·돼지[] 등 열두 동물과 대응시킨 것은 훨씬 후대의 일로, 불교사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당대()에 와서는 십이지생초()를 조각한 석재 및 토우가 묘지장식에 나타났다.

한국의 경우는 호석()에 십이지신상을 조각한 경주() 괘릉()이나 김유신묘()가 최초의 것으로 보인다. 

성덕왕릉()은 호석이 넘어지지 않도록 삼각형 수석()을 받치고 그 사이에 따로 환조() 십이지신상을 세운 특이한 예이며, 그 이후의 왕릉에는 괘릉과 마찬가지로 호석면에 십이지신상을 양각하였다. 

고려시대에 와서는 입상()뿐만 아니라 좌상()도 나타나고, 신라의 예처럼 면석()에만 조각한 것과 반대로 안에 끼운 널판돌에 새기기도 했으며, 음각()한 것도 간혹 나타난다.

275381d477a3dc7a3e941bc3b1acdc7d_1758946920_398.jpeg


조선시대에서는 전대와 거의 같으나, 인조의 장릉()에서부터는 십이지신상 대신에 모란무늬[]가 나타나게 된다. 

십이지신상은 수호신으로 호석뿐만 아니라 현실() 내부에 벽화로 그린 경우도 있으며, 원원사지() 3층석탑이나 황복사지()에서 찾아볼 수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십이지신상 [十二支神像]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강원도 동해시 삼화로 584Tel. 033-534-7661~2Fax. 033-534-7546템플스테이 문의. 033-534-7676동해불교대학. 033-534-7663요양원. 033-522-0500
Copyright ⓒ samhwasa templ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