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화사 | 두타산 삼화사 삼성각 불화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22-07-25 18:35 조회2,041회 댓글0건본문
치성광여래 (사진 위) [ 熾盛光如來 ]
불교에서 북극성을 부처로 바꾸어 부르는 이름.
도교에서 유래한 칠성신앙을 불교에서 받아들여 그 중 북극성을 부처로 바꾸어 부르는 이름이다.
이밖에 북두칠성은 칠여래(七如來),
해는 일광변조소재보살(日光遍照消災菩薩),
달은 월광변조소재보살(月光遍照消災菩薩)로 바꾸어 부른다.
북극성은 그 빛이 밤하늘의 별 중 가장 밝아
치성광(熾盛光)이라는 명칭이 붙었으며
묘견보살(妙見菩薩)이라고도 한다.
치성광을 내뿜어 해와 달, 그리고 별과
그 별이 머무는 자리 등 빛이 있는 모든 곳을 다스린다.
불교가 우리나라 재래의 민간신앙을 흡수한 예로,
다른 나라 불교에서는 찾아볼 수 없다.
사찰에서는 다른 불상처럼 조각상으로 꾸민 예는 없고, 칠성각 또는 삼성각에 후불탱화로 모신다.
일광여래·월광여래와 함께 삼존불을 이루고 주변에는 칠여래와 칠원성군이 배치된다.
아이의 수명을 관장하고 재물과 재능을 준다고 하여 예로부터 민간에서 많이 믿었다.
특히 약사불과 비슷한 역할을 한다고 하여 자식이 없거나 아들을 낳고자 하는 여자, 자녀의 수명을 기원하는 이들이 많이 믿었다.
산신도(사진 중앙)
사찰에서 볼 수 있는 산신은 우리의 고유한 신앙이 불교에 수용되었음을 보여준다.
스승의 도움 없이 혼자 깨우쳐 성인이 된 사람을 의미한다.
독성이란 스승의 도움 없이 혼자 깨우쳐 성인이 된 사람을 의미한다.
독성의 유래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다.
전하는 이야기로는 부처의 제자가 된 나한으로 말법시대에 출현하여 중생들을 교화했다고 하는데
부처의 제자 중에는 그의 이름이 없고, 이름을 거론한 경전도 없다.
그래서 중국 천태산에서 혼자 도를 닦아 연각(緣覺)을 성취한
나반존자(那般尊者)를 독성이라고 생각하거나,
빈두로존자 혹은 가섭이라 하기도 한다.
흰머리와 희고 긴 눈썹 등 외모상 비슷한 점이 많고 신통력이 있다는 것도 비슷하기 때문이다.
특히 중국이나 일본의 문헌에서는 전혀 찾아볼 수 없기 때문에 한국 사찰의 독성이란 단군신앙의 불교적 전개라고도 한다.
삼명(三明)의 능력을 지녔으며, 자신뿐 아니라 남을 이롭게 하는
“자리이타(自利利他)”의 능력도 지녔다고 한다.
사찰에서는 독성각(獨聖閣)에 모셔지거나 산신·칠성과 함께 삼성각에 모셔진다.
독성은 홀로 수도한다는 도교적인 의미를 지닌 때문인지
대부분 깊은 산중의 지극히 조용하고 평화로운 분위기를 배경으로
자연과 어우러져 자연을 음미하듯 편안한 자세를 취한 도인(道人)형으로 그려진다.
희고 긴 눈썹을 드리우고 오른손에는 석장(錫杖), 왼손에는 염주 또는 불로초를 들고 반석 위에 정좌한 모습이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